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uitableview
- clean architecture
- ios
- 리팩토링
- swiftUI
- rxswift
- map
- UICollectionView
- MVVM
- uiscrollview
- Observable
- tableView
- HIG
- 리펙터링
- ribs
- 클린 코드
- swift documentation
- Xcode
- RxCocoa
- collectionview
- UITextView
- Clean Code
- Refactoring
- 애니메이션
- Protocol
- combine
- SWIFT
- Human interface guide
- 스위프트
- 리펙토링
- Today
- Total
목록REST API (2)
김종권의 iOS 앱 개발 알아가기

* 사용 방법(secret): ios-development.tistory.com/267 Moya프레임워크 * 실무적으로 쓰는 형태는 여기 참고: ios-development.tistory.com/219 Alamofire 프레임워크가 내부적으로 포함 (podfile.lock파일에서 확인) Alamofire가 있지만 굳이 Moya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이유 Alamofire를 사용하면, URL과 같은 것을 사용할 때 request에 넣어주어야 하며(Network Layer접근), 템플릿이 갖추어 지지 않아서 재사용에 유리하지 않은 구조 Moya프레임 워크를 사용하면 Moya에서 Network layer를 템플릿화 해놓고 사용하는 입장인 App에서는 request, response만 처리하면 됨 Moya 프레임..

Postman이란? 서버 사이드 역할을 해주는 기능 담당 (Postman회원가입 후 앱 설치) Mock서버 생성 Mock서버 생성 - 우측 상단에 "+ New버튼" 클릭 Mock Server클릭 path정의 이름 설정 서버 정보 확인 - Request path 확인 (Copy Mock URL클릭) GET방식 예제 Response생성: 우측에 "Example" 에서 Default또는 Add Example Response body작성 Request (parameter작성) (단, 보안문제로 URL에 포함되면 안되는 password정보나, 정보를 수정할때 POST면 params가 아닌 body에 작성) Send를 누르면 response가 오는 것 확인